티스토리 뷰

프로그램/우분투

Zerotier VPN 설정

울프존 2025. 7. 17. 16:21
반응형

ZeroTier는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장치들을 마치 하나의 로컬 네트워크에 있는 것처럼 연결해주는 네트워크 가상화 소프트웨어이자 메시 VPN 솔루션입니다.

  1. 가상 네트워크 생성: 사용자는 ZeroTier Central 웹 대시보드에서 고유한 ID를 가진 가상 네트워크를 생성합니다.
  2. 클라이언트 설치 및 가입: 연결하려는 모든 장치(PC, 서버, NAS, 모바일 등)에 ZeroTier 클라이언트를 설치하고, 해당 가상 네트워크 ID를 사용하여 가입합니다.
  3. 가상 IP 할당: ZeroTier는 각 가입 장치에 가상 네트워크 내에서 유효한 사설 IP 주소를 할당하며, 이는 마치 가상 이더넷 어댑터처럼 작동합니다.
  4. P2P(Peer-to-Peer) 연결: 장치들은 중앙 서버를 거치지 않고 서로 직접 암호화된 터널을 구축하여 통신합니다. 이는 낮은 지연 시간과 높은 성능을 제공합니다. (연결 설정 시에는 ZeroTier의 루트 서버 도움을 받습니다.)
  5. 방화벽 및 NAT 우회: 복잡한 라우터 설정이나 포트 포워딩 없이도 대부분의 방화벽과 NAT 환경을 자동으로 우회하여 연결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6. 보안: 모든 통신은 강력하게 암호화되며, ZeroTier Central에서 각 장치의 네트워크 접근을 승인하고 제어할 수 있어 높은 보안성을 제공합니다.
  7. 유연성: 하나의 장치가 여러 ZeroTier 네트워크에 동시에 가입할 수 있어 다양한 프로젝트나 환경에 대한 접근이 용이합니다.
  8. 오픈 소스 및 무료 플랜: 핵심 소프트웨어는 오픈 소스이며, 일반적으로 최대 25개 장치까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플랜을 제공하여 개인 사용자나 소규모 팀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간단히 말해, ZeroTier는 지구 반대편에 있는 컴퓨터들도 마치 옆방에 있는 것처럼 안전하고 쉽게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마법 같은 도구입니다.

 

 

[ 우분투 설치 방법 ]

 

관리자 모드로 설치 하세요.

 

1단계: ZeroTier 공식 설치 스크립트 실행

curl -s 'https://install.zerotier.com/' | sudo bash

 

 

2단계: ZeroTier 서비스 상태 확인

sudo systemctl status zerotier-one

 

 

3단계: ZeroTier 네트워크 가입

ZeroTier 에서 생성한 네트워크 ID를 사용하여 연결합니다.

sudo zerotier-cli join <네트워크_ID>

sudo zerotier-cli join 8056c2e21c000001

 

 

4단계: ZeroTier Central에서 장치 승인

네트워크 가입하면 ZeroTier Central 에서 목록이 표시되며 편집을 눌러  Authorized 에 체크를 해야 사용가능 상태로 전환되며, 장치명과 설명등을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상태가 인증으로 표시되면 화면을 닫고 목록을 확인하면 할당된 IP가 표시됩니다.

 

5단계: 연결 확인

zerotier-cli listnetworks

zerotier-cli listpeers or zerotier-cli peers

 

 

기타 : 부팅시 자동실행 여부 확인 및 설정(disable 인 경우)

systemctl is-enabled zerotier-one.service

sudo systemctl enable zerotier-one.service

 

 

[ 윈도우즈, MAC 등 설치 방법 ]

 

1단계:  해당 사이트에서 OS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2단계: 설정

 - 트레이 아이콘에서 Join new Network 메뉴를 선택해 네트워크 ID를 사용하여 연결합니다.

 - Start UI at login 에 체크해 주어야 부팅시 자동실행 됩니다.

 

3단계: ZeroTier Central에서 장치 승인

네트워크 가입하면 ZeroTier Central 에서 목록이 표시되며 편집을 눌러  Authorized 에 체크를 해야 사용가능 상태로 전환되며, 장치명과 설명등을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상태가 인증으로 표시되면 화면을 닫고 목록을 확인하면 할당된 IP가 표시됩니다.

 

연결 확인은 우분투와 동일하며, 도스창(cmd)를 관리자 모드로 열어서 해야 합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